top of page

里, Re:construction

최종 수정일: 7월 10일

프로그램

김은혜 @kim.ishey / 건축설계스튜디오 VII

산복도로 노후건물에 대한 공공적 제안 - Hyper Bridge
산복도로 노후건물에 대한 공공적 제안 - Hyper Bridge

Introduction

위치 : 부산 중구 영주동 부산터널 일대

용도 : 주거복합시설

층수 : 4층

연면적 : 21,700m2

구조 : 트러스, 철골철근콘크리트 구조



---------------------------------------------------------------------------------------------



Social Issue

ree

<Social Issue>


Keyword | 저성장

전세계의 많은 선진국들은 산업혁명 시대의 급진적인 대성장 후, 4차 산업혁명, 과학기술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저성장’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저성장은 여러 요인으로 인한 저조한 경제성장률로 전세계적인 선진국들의 현대인들이 마주하고 있는 공통적인 사회현상이다. 낮은 생산성 증가율과 인구감소 및 고령화로 인한 노동력 부족, 글로벌 경제 환경 악화 등 다양한 이유를 원인으로 한다. 한국전쟁 이후 한국은 짧은 기간 동안 유래없는 발전을 일구어냈다. 하지만 한국 역시도 선진국 사이에서도 극단적인 저출산과 초고령화를 겪으며 저성장 시대를 경험하고 있다.

다른 양상으로 변화된 사회이지만 갈수록 고조되는 역삼각형 인구 피라미드를 따라 가지 못하는 도시환경은 많은 아파트를 양산하면서도 곳곳의 오래된 노후주택과 빈집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도시별 인구밀도의 차이와 아파트의 급증으로 지방의 오래된 도심에는 빈집이 확대되고 있다.

인구구조 변화에 맞물린 시대에 맞춰 새롭게 제안할 수 있는 건축과 도시환경은 무엇이 있을지 상상해볼 수 있다.

Macro Site Analysis

ree

re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Busan / History of Hillside Road(Sanbok Road)>


부산의 대표적인 산복도로 마을들은 각 지형적 특성에 순응하여 각기 다른 마을 구조를 지녔음에도 산으로 둘러싸여 마을이 경사지에 따라 골짜기 지형에 위치한다는 공통적인 양상을 보인다. 이러한 지형은 외부와의 단절을 심화시키는 동시에, 지역 고유의 생활 방식과 공간 구조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부산의 산복도로는 바다와 맞닿은 지형과 피난민 정착의 역사적 배경 속에서 판잣집, 단독주택, 아파트로 변모해온 주거지이나, 현재는 저출산과 고령화로 인한 인구 감소와 접근성 문제 등으로 빈집과 노후주택이 급증하며 낙후되고 있다. 이러한 도시 문제를 단순한 주거 재정비나 상업적 활성화로 해결하기보다는,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하는 도시조직의 근본적인 재편이 필요하다.


Micro Site Analysis

ree

<Micro Site Analysis>

이번 프로젝트는 출산율이 가장 낮고 고령화가 심각한 중구 산복도로를 중심으로, 원도심과 산복도로 마을 전반의 도시조직을 재구성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물리적 재생을 넘어 인구, 생활, 공동체가 유기적으로 작동하는 지속 가능한 도시 환경을 구축하고자 한다.

부산 중구에 위치한 프로젝트 대지는 경사가 가파른 산복도로의 도로체계를 중심으로 도시조직이 구성되어 있다. 그에 따라 발전한 이동방식은 모노레일이라는 특징적인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또한 오래된 원도심으로 건물의 노후도는 단독주택 지역에 밀집되어 노후가 심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거지로 다양한 주거를 가지고 있다기 보다는 높은 경사지에 고층 아파트를 제외하고는 낮은 단독주택, 빌라 등의 오래된 한국의 주거형식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산복도로가 가지는 도로, 길이라는 특성과 함께 발생하는 이동성의 불편함을 해결하고 빈집과 노후화된 주거지에 대한 새로운 제안으로 변화하는 시대를 따라 쾌적하게 살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목표이다.

Concept

ree

<Concept>

기존 산복도로를 따라 이동하고 가파른 경사지의 계단을 대신하여 긴 동선의 산복도로를 연결하고, 기존 프로젝트 대지 주변의 노후주거 및 빈집을 프로젝트 내부로 재배치하여 기존 주민 및 새로운 방문자와 주거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구성한다.

 

 

 

 

 

Mass Process

ree

<Mass Process>

프로젝트 대지의 지형과 도로를 따라 하나의 매스로 연결을 시키고 여러 레벨에서 진입할 수 있도록 공간과 층을 구성한다. 앞선 매스 프로세스에 따라 길게 형성된 공간을 지지할 수 있도록 주변 지형과 도로체계를 반영하여 코어축을 형성하고 기존 주거지의 건물들을 프로젝트 내부에 새롭게 재구성한다.

 

 

 

 

 

Site Axonometric

ree
ree

<Site Axonometric>

도로와 경사진 지형을 연결하는 프로젝트 건물과 철거된 빈집과 노후주거 대신 위치한 도시공원으로 전체적인 산복도로의 이미지가 변화되었다.

내부에 배치된 각 공간과 실은 다양한 길과 건물이 만들어내는 체계를 반영할 수 있도록 4가지 타입으로 각 공간에 배치한다.

 

 

 

 

 

Master Plan

ree

<Master Plan>

<Year Change Scenario>
<Year Change Scenario>

프로젝트의 지붕에서 보듯이 양 끝에서 건물로 진입이 가능하며, 기존의 도로체계를 대신하여 새롭게 구성되는 프로젝트의 체계를 제안한다.

시간이 흐르면서 저출산 고령화가 심화되고 빈집과 노후건물이 늘어나면서 기존 건물을 이전하면서 주변에는 새로운 건물이 들어서기 보다는 급한 경사와 긴 동선으로 이동하기 불편한 산복도로에는 도시공원부터 시작하여 도시농업지, 이에 따른 부대시설들이 들어서면서 산복도로는 새로운 모습으로 변화할 수 있다.

Floor Plan

ree

<1F Plan>

ree

<2F Plan>

ree

<3F Plan>

앞선 엑소노메트릭과 내부 공간 구성에 따라 다양한 레벨에서 연결될 수 있도록 공간을 구성하고, 내부에서도 다양한 길과 실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여 기존의 산복도로를 재구성함으로 보여준다.

기존 주거민의 수가 줄어들고, 저출산과 고령화가 해결되지 않고 지속될 경우 미래세대가 사용할 공간으로써 주거로만 사용하지 않고 주거복합건물로 상업, 문화, 오피스 등 다양한 공간이 같이 배치한다.

 

 

 

 

 

Section Plan

ree

<Section Plan>

가파른 경사지에서 아래 부산터널로 향하는 대영로 위로 다양한 레벨로 진입가능하도록 프로젝트를 제안하였다.






Perspective View

<Perspective View>

Model

<Model>

Software

SketchUp, Auto CAD, Photoshop, Illustrator, Indesign, Enscape, D5 Render



Image gallery





#2025 # 건축학과 졸업전시 # 온라인 졸업전시 #부산대학교 #부산대학교건축학과 #부산대학교아카이브 #pnuarchiport




부산대학교 건축학과 학생의 작품에 관심을 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궁금한 사항은 자유롭게 댓글(익명 가능) 또는 인스타 DM 이용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댓글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