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Art Whale Media Park

문화상업시설

김나린 / 건축설계스튜디오 VII


디지털 세계와 물리적 세계의 연결 , 건축과 도시의 새로운 공생법
디지털 세계와 물리적 세계의 연결 , 건축과 도시의 새로운 공생법

Introduction

위치 : 부산진구 전포동 668-1, 682

용도 : 문화상업시설

층수 : 지상 9층, 지하 2층

대지 면적 : 약 28600㎡



---------------------------------------------------------------------------------------------



Opening

ree

<digital interactive urban regeneration smart hub, 디지털로 상호작용하는 도시재생의 스마트 허브>


세계의 사람들이 한국으로, 또한 부산으로 모인다. 새로운 시대속에 이를 최종 목표로 할때, 우리가 가장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자원은 바로 디지털과 미디어다.


People from all over the world gather in Korea and also in Busan. Digital and media are the easiest resources for us to use when we aim for this as our final goal in the new era.







Strategy

ree


밀레니엄 세대의 디지털 문물은 인류의 발전으로 야기된 일종의 새로운 자연이다. 이와 물리적인 관계를 맺을때, 우리는 공간의 제공자로서 확장된 자연, 즉 디지털 세계와의 경계를 허무는 공생의 연결점을 제공해야 한다. 디지털 세계의 활용은 이미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이를 건축적 공간 형성에 고려한다면, 우리는 더욱 폭넓은 공간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온라인 플래폼 및 공감각적 연결으로 지역과 지역, 사람과 사람을 잇는다.


The digital culture of the Millennium generation is a kind of new nature caused by the development of mankind. When we have a physical relationship with this, we must provide a symbiotic connection point that breaks the boundary with the expanded nature, that is, the digital world, as a provider of space. The use of the digital world is already taking place in various fields. Considering this in the formation of an architectural space, we can provide a wider spatial experience. It connects regions and regions, people and people through online platforms and synesthetic connections.







Concept

ree

<Tourists, residents, Busan are connected through the media 여행자, 주민, 부산을 연결하는 온라인 미디어>


디지털 파사드 및 미디어 전시는 최근 새로운 컨텐츠로 주목받고있다. 각지의 사람들이 온라인 플랫폼 및 SNS 홍보 요소를 통해 이 문화 허브를 방문하면, 관광객은 이 공간을 즐김과 동시에 자연스레 도시재생에 일조할 수 있게 된다. 미디어 파사드를 통해 도시재생이 필요한, 또는 완료된 다양한 부산의 공간, 골목, 마을을 홍보하며, 이를 통한 체험형 컨텐츠를 통해 직접 개선 아이디어를 제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는 지역 주민간의 교류 커뮤니티 공간이 된다.


Digital facades and media exhibitions are recently attracting attention as new content. When people from all over the world visit this cultural hub through online platforms and SNS promotion elements, tourists will be able to enjoy this space and naturally contribute to urban regeneration. It promotes various Busan spaces, alleys, and villages that need or have been completed through media facades, a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directly present ideas for improvement through experiential content. In addition, it becomes an exchange community space between local residents.







Utilization

ree

<How to connect space with media, people and city 공간, 미디어, 사람을 도시와 연결하는 방법에 대하여>


부산을 배경으로 한 시민들의 창작물을 관람 / 미디어 속 부산 옆을 거닐며 색다른 휴식 /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미디어 패널에 출연 / 자신이 창작한 영상물을 미디어에 전시


Watch Citizens Creatures Set in Busan / Unique time as you walk Media of Busan / Appear on media through online platformsDisplay your created videos in the media







Summary

ree

부산의 명소, 바다, 다양한 마을과 골목을 담아내어 홍보 및 참여를 이끄는 문화 관광 도시재생의 중심 허브


A central hub for cultural tourism urban regeneration that includes Busan's attractions, the sea, and various villages and alleys to promote and participate







History , Present , Future

<공생 속에서 살기 - 미래의 고고학 Living in Symbiosis - an Archeology of the Future >


부산은 일자리, 문화시설 부족 등 여러 이유로 지속적인 인구 유출을 겪고 있다. 또한 지역 커뮤니티가 약화되고 거리가 노후화되었다. 하지만 부산은 다양한 특색을 갖고 있다. 산복도로, 해안가 등 다양한 형태의 마을이 형성되었고, 국제적인 영화의 도시이며, 특별한 음식이 많다. 미디어를 활용한 문화시설을 통해 부산의 다양한 장소를 홍보하고, 이를 통해 건물과 도시가 서로의 특색을 강화하며 시너지를 낼 수 있다.


Busan is experiencing a continuous outflow of population for a number of reasons, including jobs and a lack of cultural facilities. In addition, local communities have weakened and streets have deteriorated. But Busan has a variety of characteristics. Various types of villages were formed, such as mountainous roads and coastal areas, and it is a city of international cinema, and there is a lot of special food. Through cultural facilities using media, various places in Busan can be promoted, and through this, building and cities can strengthen each others characteristics and create positive synergy.







Mass

ree

<서면의 중심, 사람이 모이는 미디어와 공원 Media park,The center of Seomyeon>


서면역 등 사람이 모이는 방향으로 입구를 열었다. 경관을 해치지 않는 매스의 높이와 형태를 잡고, 오픈된 미디어 공원을 통해 사람들의 흥미를 끈다. 거대한 입구로 흥미를 끄는 미디어 공간을 열고, 경사를 통해 두 매스를 잇고 경관이 어우러지게 한다. 여러 계단으로 이동과 관람, 휴식을 편리하게 한다.


Open the entrance in the direction of people gathering such as Seomyeon Station. Hold the height and shape of the mass that does not harm the landscape, and Get people interested through the open media park. Open an interesting media space with a huge entrance, and Connect the two mass through the slope and let the landscape blend in. Make it easier to move, watch, and relax by taking several steps.







Floor Plan

ree

길을 지나는 이들이 가볍게 즐길만한 시설을 저층에 두었다. 중층부에서는 여러 체험과 교육을 받을 수 있다. 고층은 부산을 경험하고 싶은 이들을 위한 단기 소규모 주거 시설과 공유 시설이 존재한다.


Facilities that passers by are placed on the lower floor. In the middle floor, you can get many experiences and education. There are short-term small residential facilities and shared facilities for those who want to experience Busan on the high floor.


1.공유텃밭 2.공유주방     3.공유오피스     4.청년지원 단기주거     5.야외극장     6. 로컬푸드 및 특산품 판매     7.이벤트성 식음료 판매     8.오픈테라스     9.미디어체험시설     10.디지털기술교육     11.주민문화교육     12.버스킹 공연     13.정기 리유즈 및 플리마켓     14.미디어전시


1. Shared garden     2. Shared kitchen     3. Shared office     4. Short-term housing for young people     5. Outdoor theater     6. Sales of local food and specialties     7. Event-based food and beverage sales     8. Open terrace     9. Media experience facility     10. Digital technology education for residents    11. Resident cultural education  12. Busking performance     13. Regular Reuse and flea market     14. Media exhibition







Section

ree


새로운 시대속에 디지털은 일종의 세계의 확장으로, 다양한 경제 사회적 활동이 그 속에서 이루어진다. 각종 상업/예술 분야에서 이를 활용해 발전을 이어왔듯, 건축의 물리적 공간와 어떻게 연결할 수 있느냐를 도시재생의 관점에서 탐구하여 도시와 개인의 공생 방법을 발전시킨다. 여러 도시의 공간을 건물속에 디지털로 풀어내며 도시와 건물이 서로를 통해 홍보 및 관리되는 커뮤니티 문화시설을 구성한다. 공간을 연결하며 도시를 개선하는데 있어 시민의 편리하고 일상적인 참여를 이끈다.


In the new era, digital is a kind of expansion of the world, and various economic and social activities take place in it. Just as development has been continued by utilizing it in various commercial/art fields, it develops a symbiosis method between cities and individuals by exploring how to connect with the physical space of architecture from the perspective of urban regeneration. The spaces of various cities are digitally released into the building, and community cultural facilities in which cities and buildings are promoted and managed through each other are constructed. It connects spaces and leads citizens’ convenient and daily participation in improving the city.







Model






Software

Photoshop, Indesign, SketchUp, AutoCAD



Image gallery





#2025 # 건축학과 졸업전시 # 온라인 졸업전시 #부산대학교 #부산대학교건축학과 #부산대학교아카이브 #pnuarchiport




부산대학교 건축학과 학생의 작품에 관심을 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궁금한 사항은 자유롭게 댓글(익명 가능) 이용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김나린

댓글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