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ense
- pnu_archi_port
- 6월 19일
- 2분 분량
최종 수정일: 1일 전
도서관, 추모시설
정현주 @hyunju_zoo / 건축설계스튜디오 VII

Introduction
위치 : 부산 남구 대연동 697 일대
용도 : 도서관, 추모시설
층수 : 지하, 지상 도합 3층
대지 면적 : 16,176 ㎡
구조 : 철근 콘크리트 구조, 무량판 구조
---------------------------------------------------------------------------------------------
Prologue

<concept diagram>
이 도서관은 UN기념공원의 성격을 연장하여, 시민들이 가볍게 추모하고 기억을 환기할 수 있는 공간으로 기획 되었다. 기억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기존의 UN공원이 가진 추모와 기념의 기능을 도서관이라는 일상적인 공간 안에 자연스럽게 녹여내고자 한다.
이 도서관은 과거를 기록하고 보관하며, 그 기억을 바탕으로 미래와 공생 하는 장소이다. 이는 ‘공생’, ‘미래의 고고학’, ‘시대 간의 연결’이라는 키워드를 담고 있으며, 단순한 기능적 공간을 넘어 기억의 의미를 확장하고 해석하는 문화 시설로 자리매김한다.
Site Diagram

<site analysis>
이 도서관은 UN기념공원과 인접한 평화문특구에 위치하며, 반경 500m 내에는 초 · 중 · 고 · 대학교 등 다양한 교육시설,1km 내에는 박물관·기념관 등 문화 시설들이 밀집 해 있다.
도심 한가운데에 있으면서도 자연과 가까운 이곳은 주변 주민들에게는 산책로이자 공원처럼 일상적으로 이용되는 공간이며,도서관은 그러한 흐름 속에 우연히 마주치는 차분한 장소,그리고 일상과 비 일상을 잇는 매개체로 기능하게 된다.
Water Flow Diagram

<water flow diagram>
물은 이 도서관에서 매우 중요한 매개체로 작동하며, 각 수공간은 그 위치와 맥락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와 분위기를 갖는다.
이는 단순한 장식적 요소를 넘어서, 공간마다 고유의 감정과 기능을 부여하고, 기억의 흐름을 시각적·심리적으로 이끌어내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Site Plan

<site plan>
이 도서관은 UN기념공원과 직접 맞닿아 있어, 그 상징성과 성격을 자연스럽게 이어받아 ‘기억’과 ‘추모’의 장소로 작동한다.
또한 UN기념공원이 현재 수장 기능이 부족하다는 점을 보완하고자, UN평화공원 하부에 수장고를 배치하여 전시 기능까지 함께 수행하도록 계획하였다.
UN기념공원 부터 쭉 이어지는 이러한 공간적 흐름은 이용자들이 자연스럽게 기억을 환기하고 조용히 추모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Floor Plan
<floor plan>
G.L. - 3000 (1층)
G.L. + 1800 (2층)
G.L. + 7200 (3층)
Perspective View
<perspective view>
1.Soild Library / 2.Void Garden / 3. Open storage / 4. Transparent Library
Section Model
<model>
Scale 1:200 1. Soild Library / 2. Void Garden / 3. Open storage / 4. Transparent Library / 5. Approach / 6. All
Software
Rhino 8, Auto CAD, Photoshop, Illustrator, D5 Render
Image gallery
#2025 # 건축학과 졸업전시 # 온라인 졸업전시 #부산대학교 #부산대학교건축학과 #부산대학교아카이브 #pnuarchiport
부산대학교 건축학과 학생의 작품에 관심을 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궁금한 사항은 자유롭게 댓글(익명 가능) 또는 인스타 DM 이용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