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URBAN ECO-LOOP

최종 수정일: 7월 22일

15분 자급자족 도시

유형우 @yxxw.o / 건축설계스튜디오 VII

수자원을 이용한 15분 자급자족도시_워터루프시스템
수자원을 이용한 15분 자급자족도시_워터루프시스템

Introduction

위치 : 부산 남구 남동천로 58 일대

용도 : 복합주거문화시설

층수 : 지상 8층, 지하 2층

대지 면적 : 23,651.8

건폐율 : 52.24%

용적률 : 148%

구조 : 철근콘크리트구조, 목구조

---------------------------------------------------------------------------------------------



미래의 고고학

ree

<자연과 함께 순환하는 15분 도시>


부산 원도심은 인구 유출, 고령화, 빈집 증가로 도시 기능이 점차 소멸하고 있다. 특히 동강을 중심으로 한 낙후된 지역은 물리적 쇠퇴뿐 아니라, 삶의 자립 기반도 잃어가고 있다. 본 프로젝트는 빈집의 개조와 활용을 통해 도심순환형 농업 거점으로 전환되며, 동강의 물은 각 건물에서 정화되어 다시 자연으로 순환된다. 이는 쇠퇴한 도시를 생태적으로 재구성하고, 부산이 직면한 인구감소·환경위기에 대응하는 지역 기반의 15분 도시를 제안한다. 이로써 수요와 맞지 않는 공간을 채우는 대신, 생태 순환 구조로 전환해 도시의 자립과 회복을 가능하게 하는 전략을 고민해보려 한다.







Site Analysis

ree

<부산의 중심, 원도심의 강력한 수자원(동천~북항)>






Reduction Process

<수자원을 이용한 자급자족 프로세스 다이어그램>
<수자원을 이용한 자급자족 프로세스 다이어그램>






Mass Process







Section

<section_circulation loop system>
<section_circulation loop system>




<section_expansion green space>
<section_expansion green space>




<section_connect program>
<section_connect program>

Residence for Modern Farmer

직주근접을 토대로 특화 SOC를 접목한 새로운 유형의 주거타입을 제안한다. 모듈형 스마트팜 공간은 수직농장을 기반으로 수경 재배 시스템과 실내 공기정화 시스템을 통해 주거와 농업을 하나의 생태계로 통합하며, 재배에 사용된물은 정수 및 순환 과정을 거쳐 다시 생활에 재사용된다.





Image








Software

SketchUp, Auto CAD, Photoshop, Indesign, D5



Image gallery





#2025 # 건축학과 졸업전시 # 온라인 졸업전시 #부산대학교 #부산대학교건축학과 #부산대학교아카이브 #pnuarchiport




부산대학교 건축학과 학생의 작품에 관심을 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궁금한 사항은 자유롭게 댓글(익명 가능) 또는 인스타 DM 이용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댓글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