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0914 Alley

플래그십스토어

이범준 @jjun_o3.o9/ 건축설계스튜디오 IV



브랜드나 제품을 조형적으로 해석하여 건물의 형태로 나타내는 것이 아닌,  사람들을 대지 내에 오래 머물 수 있는 공간을 만든다
브랜드나 제품을 조형적으로 해석하여 건물의 형태로 나타내는 것이 아닌, 사람들을 대지 내에 오래 머물 수 있는 공간을 만든다

Introduction


위치 : 서울특별시 성동구 성수이로 대림창고 일대 8개 부지

용도 : 플래그십스토어

층수 : 지하 1층, 지상 4층

대지 면적 : 2,043.09

건축 면적 : 1,176.37

연면적 : 4,541.51

건폐율 : 57.58%

용적률 : 180.91%



---------------------------------------------------------------------------------------------


What i think about this flagship store


 이번 프로젝트에 대해서 편집자는 설계자가 건물에 많은 디테일들을 생각하고 설계 하였다고 느꼈다.

과거 성수동이 발전하게 된 계기가 제조업이기에 이에 맞는 브랜드를 선정하고 그 브랜드의 특성을 보여줄 수 있는 매스감과 각각의 매스들에 들어가는 마감, 구조, 등등 많은 요소들에 이유가 존재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는 지금부터 시작해보려 한다.




Site

<site analysis>
<site analysis>

사이트인 성수동은 5층 이하의 저층의 건물이 대부분이며, 각 건물의 스팬 역시 작은 편이다.

성수동이 발전된 역사가 제조업과 관련된 공장들이 생기며, 그 근로자들이 들어와 살기 시작하면서

번성하게 되었다.

설계자는 1970년대 지어진 작은 크기의 주택들과 다양한 크기의 공장들이 이어져 오며 현재의 성수동 분위기를 만들었다고 판단 하였고 그러한 분위기를 해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하였다.




Strategy & Experience


<strategy diagram>


<experience diagram>

성수동의 복잡한 벽(입면)을 재정의하며 대지의 경계를 설정하고, 작은 크기의 박스들을 벽 위로 띄워 올려 보행자들에게 호기심을 자극하여 대지 내부로 유입시키는 방법을 선택한다.

보행자들은 대지 내부에 들어오면 작은 박스들이 모여 형성된 마을과 함께 넓은 공터에서 0914 브랜드를 체험하고 구경하게 될 것이다.





Floor Plan

<floor plan>


우선 제품 홍보가 중심이 아니기에 갤러리,공방을 1층과 지하 1층에 배치하여 접근성을 높인다.


사람들은 1층에서 도보와 연결된 계단을 타고 내려가 넓은 공터에 다다르고 이곳의 가죽공방에서 0914 브랜드의 정체성에 노출된다.


다시 계단을 타고 1층으로 올라가면 3개의 갤러리가 있다.


각 갤러리는 0914 브랜드의 역사뿐 아니라 가방의 역사 등 주제로 전시하여 방문자들에게 더욱 호기심을 유발한다.


2층은 옥상 테라스, 플리마켓존이 있다. 1층과 3층 사이의 버퍼공간 같은 역할을 한다.


3층은 물건을 판매하는 공간으로 지하 1층과 유사하게 작은 박스들이 모여 골목길을 형성하지만, 중앙을 비워 전 층을 관통하는 보이드를 형성한다.


3층에는 지하 1층의 공터와 비슷한 Yard Terrace가 골목길의 끝에서 마주하게 되는 개방감 있는 공간이 되어 고객들에게 있어 쇼핑 중 쌓인 피로를 회복하는 시간을 가지며 더욱 긴 시간을 머물 수 있도록 하였다.





Perspective Section

<perspective section>

 지하 1층의 공터의 특징은 넓은 빈 공간과 이를 채우는 수직적인 기둥이라고 생각한다.

공터의 빈 공간은 이런 기둥과 그 그림자로 영역이 약하게 구분된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기둥을 중심으로 야외 테이블이 설치되고 이용될 것이다. 6개의 기둥으로는 넓은 공간을 모두 구분하기는 힘들다고 판단하여, 기둥의 재료와 유사한 제스쳐를 가진 자작나무를 조경수로 선택하고 배치하였다. 자작나무는 가지와 잎으로 기둥보다는 넓은 그늘을 제공하여 따가운 햇빛을 피할 수 있는 적당한 공간을 제공하면서, 곧고 높게 자라는 특징으로 하늘로 열려있는 시선을 크게 방해하지 않을 것이다.




Detail Section

<detail section>
<detail section>

떠 있는 3층과 그것을 받치는 기둥은 시선을 사로잡지만, 또한 구조적으로 불안함을 일으킨다. 실제로 세장한 기둥으로만 3층을 받치게 된다면 바람, 지진과 같은 횡하중에 많이 취약 할 수 있다. 이런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라멘-전단벽 구조를 채택하였다. 주된 수직하중은 콘크리트로 내부를 채운 원형 강관을 사용하여 지지하고 북서 방면, 남동 방면에 코어를 두 곳 배치하고 이를 전단벽으로 만들어 횡하중에 저항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이 외에 작은 공간들 역시 라멘 구조를 채택하고, 대부분 공간의 스팬을 9m 이내로 설정하여 각 모서리에만 기둥을 배치할 수 있게 하여 기둥으로 인한 공간의 단절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였다.









Perspective View

<perspective view>




Model





Software

SketchUp, Auto CAD, Photoshop, Illustrator, Enscape



Image gallery








부산대학교 건축학과 학생의 작품에 관심을 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궁금한 사항은 자유롭게 댓글(익명 가능) 또는 인스타 DM 이용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Comentario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