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INFOBRIDGE

청년사회주택

이나경 @inagyeong5482 / 건축설계스튜디오 II



청년들이 겪는 정보 불균형을 해소하여 자발적으로 소통하고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청년들이 겪는 정보 불균형을 해소하여 자발적으로 소통하고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Introduction

위치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동성로 39번길 7

용도 : 주거복합시설

층수 : 지상 4층

대지면적 : 1,307

주차대수 : 7대



---------------------------------------------------------------------------------------------


Project Infomation


본 프로젝트는 점점 청년층이 살아가기 어려운 사회 구조 속 저렴한 주택 복지 혜택을 제공하는 것이 목표이다. 4인이 함께 사는 6개의 유닛으로 구성된 주거 공간과 공공프로그램 공간을 포함해야 하는 조건 하에서 가장 효과적인 공간 설계가 중요하다. 대상지는 특정 대지로 정해져 있지 않으며 부산 서면과 문현동 일대의 약 200평 ~ 400평의 대지를 선정하여 노후 저층 건축물을 매입한 후, 청년들을 선발해 주거 공간을 지원하는 전 과정을 가정하여 기획한다. 공간의 철학과 선발 기준과 같은 무형적 관리 요소, 그리고 사적/공적 공간의 설계와 배치 등을 포함한 전 과정을 건축가 + 공익적 개발자의 입장에서 기획해 보도록 한다.

-교수 계획서 중 일부 발췌





Concept


<database>
<database>

청년이 겪는 문제 중 정보 불균형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여러 사람이 공유하여 사용할 목적으로 체계화해 통합, 관리하는 데이터의 집합을 의미하는 "database"의 개념을 이용해 본 건물을 데이터들의 물리적 집합소가 되고자 하였다. 데이터들을 연결하는 지점인 FREE SPACE는 성격이 다른 공간들을 연결해주는 매개가 된다.


<design code>
<design code>

프로젝트의 주어진 조건인 24명과 타이트한 내부 면적으로 내부의 소통 정보를 모으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판단했다. 따라서 내부의 소통보단 외부의 정보를 들고 오고자 하였다.

또한 모듈 방식을 사용해 급변하고 있는 시대 상에 맞추어 다양한 형태로 변화할 수 있다. 이는 서면을 넘어 정보 격차가 발생하는 다양한 지역에 적용할 수 있으며 이는 정보 불균형 격차를 해소하는 지역 맞춤 공간적 창구가 될 것이다.





Module


<free space>
<free space>
<module diagram>
<module diagram>












FREE SPACE는 모듈과 외부공간 사이에 위치한 공간이다. 이는 "database"의 노드, 즉 연결 수단이자 지점이다. FREE SPACE는 점진적으로 사적 공간으로 이동하는 동선이면서 공적 성향이 강한 외부에 대한 중화 역할을 한다. FREE SPACE에서 모듈 내부로 들어갈수록 사적 공간으로 이동하고 각자의 개인 공간에서는 다시 점진적으로 공적 공간으로 향하는 사선의 베란다를 만난다.

<module plan>
<module plan>




Mass


1. stack - 두 개씩 이어준다
1. stack - 두 개씩 이어준다

2. deck - 외부 공간을 이어준다
2. deck - 외부 공간을 이어준다

3. truss - 층과 층을 이어준
3. truss - 층과 층을 이어준

모듈 간 연결을 위해 두 개씩 짝지어 쌓아 매스를 형성했다. 이로 인해 생기는 보이드 공간은 외부인과의 소통을 적극적으로 유도하기도 하며, 데크로 이어진 공간은 모듈끼리 공유하여 거주자 간 소통을 이끌어낸다. 입면에서 층 간의 분절됨을 해소하기 위해 truss를 이용하여 구조를 해결했다.





Isometric


<isometric>
<isometric>

1층은 인접한 복지관과 커뮤니티 프로그램을 연계하여 외부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가변적 공간을 만들었다. 또한 외부인과 함께 정보를 수집하고 공유할 수 있는 카페, 워크스페이스, 열람실을 함께 배치했다. 2, 3, 4층은 거주자들만 이용할 수 있는 모듈과 데크로 이루어져 사적 공간을 보호한다. 옥상에는 외부인도 사용 가능한 루프탑을 두어 1층에서 외부 교류가 끝나지 않고 전층으로 연결되는 흐름을 기대한다.





Plan



< plan >





Model


<model>







Software

Rhino, Auto CAD, Illustrator



Image gallery








부산대학교 건축학과 학생의 작품에 관심을 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궁금한 사항은 자유롭게 댓글(익명 가능) 또는 인스타 DM 이용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Comentarios


bottom of page